혼자공부중
공부하는 블로그
혼자공부중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111)
    • 자격증 (49)
      • 정보처리기사 실기 (49)
    • JAVA (18)
    • DB (0)
    • 알고리즘 문제 풀이 (11)
      • 프로그래머스 (11)
    • Front (0)
      • HTML (0)
      • CSS (0)
      • Javascript (0)
    • 패스트캠퍼스 강의 (33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  • 알고리즘
  • 2022정보처리기사
  • 관계형데이터베이스
  • 메소드
  • 상속
  • 정보처리기사
  • 패스트캠퍼스 #포트폴리오 #직장인자기계발 #환급챌린지 #포트폴리오챌린지 #패스트캠퍼스후기 #초격차패키지 #오공완
  • 정보처리기사 필기
  • 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리
  • 2022정보처리기사실기
  • 배열
  • 반복문
  • 객체지향
  • SQLD
  • 코딩테스트
  • 정보처리기사 필기 정리
  • 정보처리기사 실기
  • 애플리케이션테스트
  • 인터페이스
  • 자바
  • 데이터베이스
  • 시나공
  • DBMS
  • UI
  • 프로그래머스
  • 2022정보처리기사필기
  • 수제비
  • 변수
  • 데이터모델
  • Java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혼자공부중

공부하는 블로그

JAVA

[JAVA] 수식과 연산자

2022. 2. 10. 13:14

1. 수식(expression)

  • x+y와 같이 변수, 상수, 연산자 등으로 구성된 식을 수식이라고 한다
  • 수식은 일반적으로 상수나 변수와 연산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
  • 수식은 항상 결과값을 가진다
  • 아래 문장들은 모두 수식이다
  • x = 10;
    y = 20;
    sum = x + y;

2. 연산자와 피연산자

  • 연산자(operator)는 특정한 연산을 나타내는 기호를 의미한다
  • 피연산자(operand)는 연산의 대상이다
  • x + y에서 x와 y는 피연산자이고 +는 연산자이다

3. 연산자

  • 피연산자들에 대하여 지정된 연산을 수행하고 결과를 반환한다
  • ex) +, -, *, /

4. 대입 연산

  • 대입 연산자(=)는 왼쪽에 있는 변수에 오른쪽에 있는 수식의 값을 계산하여 저장한다
  • 할당 연산자 또는 배정 연산자라고도 한다
  • 대입 연산자의 왼쪽에는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변수가 위치하고 대입 연산자의 오른쪽에는 변수에 저장할 값이 위치한다
  • x = 100; // 100을 변수 x에 대입한다

5. 산술 연산

  • 산술 연산을 하려면 산술 연산을 수행하는 연산자들을 사용하여야 한다
  • 산술 연잔자들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
  • 연산자 기호 의미 예
    덧셈 + x와 y를 더한다 x+y
    뺄셈 - x에서 y를 뺀다 x-y
    곱셈 * x와 y를 곱한다 x*y
    나눗셈 / x를 y로 나눈다 x/y
    나머지 % x를 y로 나눌 때의 나머지값 x%y
  • 사칙 연산자들은 이항 연산자라고 불리는데 두 개의 피연산자를 가지기 때문이다
  • sum = x + y;
    • 변수 x에 들어있는 값과 변수 y에 들어있는 값을 더해서 변수 sum에 대입한다
    • 여기서 +가 연산자이고 피연산자는 x와 y이다

6. 증감 연산자

  • ++기호나 --기호를 사용하여 변수의 값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연산자이다
  • 증감 연산자는 피연산자의 앞이나 뒤에 올 수 있다
  • 증감 연산자가 앞에 오냐 뒤에 오냐에 따라 수식의 해석에 차이가 있다
  • 연산자 의미
    ++x x값을 먼저 증가한 후 다른 연산에 사용한다. 이 수식의 값은 증가된 x+1이다
    x++ x값을 먼저 사용한 후에 증가한다. 이 수식의 값은 증가되지 않은 원래의 x값이다
    --x x값을 먼저 감소한 후 다른 연산에 사용한다. 이 수식의 값은 감소된 x-1이다
    x-- x값을 먼저 사용한 후에 감소한다. 이 수식의 값은 감소되지 않은 원래의 x값이다

7. 관계 연산자

  • 두 개의 피연산자를 비교하는데 사용한다
  • 관계 연산자의 결과는 true(참) 아니면 false(거짓)으로 계산된다
  • 연산자 기호 의미 예
    == x와 y가 같은가? x==y
    != x와 y가 다른가? x!=y
    > x가 y보다 큰가? x>y
    < x가 y보다 작은가? x<y
    >= x가 y보다 크거나 같은가? x>=y
    <= x가 y보다 작거나 같은가? x<=y
  • ex) 1==5는 false이고 3!=5는 true이다

8. 논리 연산자

  • 여러 개의 조건을 조합하여 참인지 거짓인지를 따질 때 사용한다
  • 연산자 기호 의미 예
    && AND 연산, x와 y가 모두 참이면 참, 그렇지 않으면 거짓 x&&y
    | | OR 연산, x나 y중에서 하나만 참이면 참, 모두 거짓이면 거짓 x||y
    ! NOT 연산, x가 참이면 거짓, x가 거짓이면 참 !x

 

저작자표시 (새창열림)
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JAVA] 입력과 출력  (0) 2022.02.10
[JAVA] 형변환  (0) 2022.02.10
[JAVA]변수와 자료형  (0) 2022.02.09
[JAVA]자바 프로그래밍 기초  (0) 2022.02.08
[JAVA]자바 시작하기  (0) 2022.02.07
    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[JAVA] 입력과 출력
    • [JAVA] 형변환
    • [JAVA]변수와 자료형
    • [JAVA]자바 프로그래밍 기초
    혼자공부중
    혼자공부중
    대단한 목적보다는 혼자 공부하는 것에 의미를 두려고 합니다.

    티스토리툴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