혼자공부중
공부하는 블로그
혼자공부중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111)
    • 자격증 (49)
      • 정보처리기사 실기 (49)
    • JAVA (18)
    • DB (0)
    • 알고리즘 문제 풀이 (11)
      • 프로그래머스 (11)
    • Front (0)
      • HTML (0)
      • CSS (0)
      • Javascript (0)
    • 패스트캠퍼스 강의 (33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  • DBMS
  • 2022정보처리기사
  • 정보처리기사 필기
  • 2022정보처리기사실기
  • 인터페이스
  • SQLD
  • 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리
  • 패스트캠퍼스 #포트폴리오 #직장인자기계발 #환급챌린지 #포트폴리오챌린지 #패스트캠퍼스후기 #초격차패키지 #오공완
  • 관계형데이터베이스
  • 2022정보처리기사필기
  • 알고리즘
  • 애플리케이션테스트
  • 프로그래머스
  • 상속
  • 반복문
  • Java
  • 코딩테스트
  • 배열
  • 수제비
  • 객체지향
  • 시나공
  • 정보처리기사 실기
  • UI
  • 메소드
  • 정보처리기사
  • 데이터베이스
  • 정보처리기사 필기 정리
  • 자바
  • 데이터모델
  • 변수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혼자공부중

공부하는 블로그

자격증/정보처리기사 실기

11. [논리 데이터 저장소 확인] 데이터 모델

2022. 3. 19. 20:15
수제비 2022 정보처리기사 실기 수험서를 보고 공부한 기록입니다.

[데이터 모델(Data Model) 개념]

  • 데이터 모델은 현실 세계의 정보를 인간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추상화하여 표현한 모델이다
  • 데이터 모델에 표시해야 할 요소에는 논리적 데이터 구조, 연산, 제약 조건이 있다

연산(Operation)

  •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실제 데이터를 처리하는 작업에 대한 명세
  • 릴레이션을 조작하기 위한 관계 연산을 나타냄(SELECT, PROJECT, JOIN, DIVISION)

구조(Structure)

  • 데이터베이스에 논리적으로 표현될 대상으로서의 개체 타입과 개체 타입 간의 관계
  • 데이터 구조 및 정적 성질을 표현하는 요소

제약 조건(Constraint)

  •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는 실제 데이터의 논리적인 제약 조건
  • 데이터 무결성 유지를 위한 DB의 보편적 방법
  • 릴레이션의 특정 칼럼에 설정하는 제약을 의미(개체 무결성, 참조 무결성 등)

[데이터 모델 절차]

요구사항 분석

  • 도출된 요구사항 간 상충을 해결하고 범위를 파악하여 외부 환경과의 상호 작용을 분석을 통해 데이터에 대한 요구 분석

개념적 설계(개념적 데이터 모델)

  • 사용자의 요구에 대한 트랜잭션을 모데링 하는 단계
  • 개념적 데이터 모델은 현실 세계에 대한 인식을 추상적, 개념적으로 표현하여 개념적 구조를 도출하는 데이터 모델
  • 트랜잭션 모델링, View 통합방법 및 Attribute 합성 고려
  • 개념적 데이터 모델은 DB 종류와 관계가 없음
  • 주요 산출물은 개체관계 다이어그램이 있음

논리적 설계(논리적 데이터 모델)

  • 트랜잭션의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단계
  • DBMS에 맞는 논리적 스키마를 설계하는 단계
  • 논리적 데이터 모델은 업무의 모습을 모델링 표기법으로 형상화하여 사람이 이해하기 쉽게 표현한 데이터 모델
  • 논리적 설계 단계에서 정규화를 수행
  • 논리적 데이터베이스 구조로 매핑(Mapping)
  • 스키마의 평가 및 정제
  • 논리적 데이터 모델을 통해 "관계 데이터 모델", "계층 데이터 모델", "네트워크 데이터 모델", "객체 지향 데이터 모델", "객체-관계 데이터 모델" 중 하나의 모델에 맞게 설계
  •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는 테이블을 설계하는 단계

물리적 설계(물리적 데이터 모델)

  • 물리적 설계는 논리 데이터 모델을 특정 DBMS의 특성 및 성능을 고려하여 물리적인 스키마를 만드는 단계
  • 물리적 데이터 모델은 논리 데이터 모델을 사용하고자 하는 각 DBMS의 특성을 고려하여 데이터베이스 저장 구조(물리 데이터 모델)로 변환하는 모델
  • 테이블(Table), 인덱스(Index), 뷰(View), 파티션(Partition) 등 객체를 생성
  • 응답시간, 저장 공간의 효율화, 트랜잭션 처리를 고려하여 설계
  • 성능 측면에서 반 정규화를 수행
  • 레코드 집중의 분석 및 설계
  • 저장 레코드 양식 설계
  • 접근 경로(Access Path) 설계
저작자표시 (새창열림)

'자격증 > 정보처리기사 실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13. [물리 데이터 저장소 설계] 물리 데이터 모델 설계  (0) 2022.03.24
12. [논리 데이터 저장소 확인] 논리 데이터 모델 검증  (0) 2022.03.21
10. [UI 설계] UI 설계를 위한 UML  (0) 2022.03.18
9. [UI 요구사항 확인] UI 표준  (0) 2022.03.16
8. [UI 요구사항 확인] UI 요구사항 확인  (0) 2022.03.16
    '자격증/정보처리기사 실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13. [물리 데이터 저장소 설계] 물리 데이터 모델 설계
    • 12. [논리 데이터 저장소 확인] 논리 데이터 모델 검증
    • 10. [UI 설계] UI 설계를 위한 UML
    • 9. [UI 요구사항 확인] UI 표준
    혼자공부중
    혼자공부중
    대단한 목적보다는 혼자 공부하는 것에 의미를 두려고 합니다.

    티스토리툴바